[1] 친환경 스마트양식장 관리시스템 개발
- 국내 최초 해상 스마트양식 주요 핵심기술 4종 개발
- 인공지능 먹이공급, 어류 성장 측정, 수중드론 활용, 사육환경 제어 기술 등
- 친환경 스마트양식장 운영으로 깨끗한 바다환경의 지속가능성 확보
- 오염지표종 등급 : (일반 양식장) 3등급 → (스마트양식장) 2등급
- 핵심기술 출원·등록 및 연구성과 조기 산업화를 위한 기술 보급
- 특허 출원 : 1건(제10-2018-0089129호), 기술이전 : 2건(제10-1677010호, 제10-1753221호)
- 바다바꿈자문단 운영 및 스마트양식 기술 시연회 개최(‘18.10.31./경남 하동)
- 2018년 해양수산부 정부혁신 우수사례 장려상 수상(해양수산부 장관상)
[2] 첨단육종기술 활용 김 우량종자 개발 및 산업화
- 김 첨단육종기술 확립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육종기술 수준 보유
- 김 품종보호권 출원·등록으로 종자 다양화 주도 및 종자산업 경쟁력 강화
- 출원 10품종(국내 출원품종의 약 50% 점유), 등록 4품종
- 김 국유품종 산업화 추진으로 국내 김 종자 소요량의 약 11% 점유
- 7품종, 통상실시권 계약 114건, 패각사상체 38만 상자(판매금액 약 13억원 상당)
- 김 우량 국유품종 보급으로 총 716억 원의 경제적 효과 창출
- 유리사상체 1억원 → 패각사상체 13억원 → 물김 40억원 → 마른김 662억원
[3] 고수온내성 전복 선발용 유전자 마커 개발
- 전복 고수온내성 형질 연관 유전자 마커 개발
- 고수온내성 육종전복 및 일반전복 유전자 다양성 및 변이 정보 확보
- 약 16천 여 개의 유의미한 단일염기변이 정보 확보
- 고수온내성 형질 고효율 단일염기변이 마커 52개 선별
- 고수온내성 유전자 마커 예측 정확도 향상
- 유전자형에 따른 고수온내성 능력 예측 모델 구축
- 반복 검정 및 재학습 모델링을 통한 정확도 향상
- 선발 정확도 : 육종 가계전복(70%), 일반 양식전복(50%)
[4] 신소비문화 창출 수산식품 개발 및 산업화
- 생선 비린내 제거 기술 활용 고등어스낵 제조 기술 개발
- 산업체 기술계약 4건 및 고등어스낵 상품화 2종(제품명 : 고갈비포, 고등어 쿠키)
- 오징어 정미성분 향상 기술 적용 스낵 제조 기술 개발
- 산업체 기술계약 1건 및 오징어 스낵 상품화 2종(제품명 : 오징어쌀국수, 오징어·김스낵)
- 해조취 제거 기술 활용 미역 팽화스낵 제조 기술 개발
- 산업체 기술계약 3건 및 해조 스낵의 상품화 1종(제품명 : 렛츠웰)
- 「수산물 건강요리」 책자 발간
-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학교급식용 수산물 건강요리 55종 개발
- '수산물 체험 캠프’ 및 ’수산물 요리교실’ 운영
[5] 갑오징어 인공종자생산 기술 개발
- 실내 인공채란 및 부화수온 규명
- 채란을 위한 적정 부착기질 파악 : 통발 > 패류 양성망 > 전복 채묘틀
- 부화 적정 수온 및 수온별 부화 소요일수 파악 : 20~25℃ 부화 적정 수온
- 어린 갑오징어 초기먹이 및 성장 단계별 먹이 구명
- 부화 후 0.8cm 어린 갑오징어 초기먹이로서 알테미아 성체 공급
- 성장 단계별 적정 먹이 구명
- 알테미아→알테미아+곤쟁이류→새우류→냉동 새우
- 성장 : (부화 직후) 8mm → (95일) 45mm → (165일) 110mm
[6] 친환경 생태통합양식(IMTA) 기술 개발
- IMTA 생물의 유·무기물 제거능력에 근거한 적정 양식규모 산정
- IMTA 가이드라인 개발
- IMTA 경제성 입증
- (해상양식장 0.5ha 기준) 환경적 편익 총 1억 3,640만원, 매출액 순이익률 37.8%
- 개발기술의 조기 산업화를 위한 핵심 기술 확보 및 이전
- 특허등록 16건, 기술이전 2건
- 2018년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시험연구사업 최우수과제 선정
[7] 친환경 곤충소재 넙치 고효율 배합사료 개발
- 곤충소재 넙치 고효율 사료 개발(2종 : 중간육성용, 성어용)
- 곤충분 30%까지 어분대체가 가능하며, 곤충유 사용으로 성장과 면역력 향상
- 곤충사료를 공급한 넙치의 항병력 우수성 구명(상대생존율 58% 향상)
- 곤충소재를 공급한 넙치 성어의 육질품질 우수성 구명(라우릭산 검출)
- 장내 미생물 유익균 증가 및 유용 미생물 자원 확보
- 친환경 양식산업 기반조성 및 사료원료 수입대체 효과
[8] 에너지 절감형 권현망 어구 개발
- 에너지 절감형 권현망 어구 개발
- 어구 형태 및 길이 축소로 연료비 40% 이상 절감
- 어구 길이 : (기존) 700m → (개발) 430~470m, 어획량 감소 20% 이내
- 어구제작비용 25% 절감(7,500만원 → 5,700만원)
- 작업시간 20% 단축(투망 5분 → 3분, 양망 25분 → 20분)
- 에너지 절감형 권현망 어구 특허출원 및 기술 보급
- 특허(제10-1816248호) 출원, 설명회 4회 개최
[9] 해양환경 생태 독성 공정시험법 개발
- 해양환경 생태독성 공정시험법 개발
- 해양생태계 역할을 중심으로 6개 생태독성 시험법 개발(식물플랑크톤 등)
- 6개 생태독성 표준 시험방법 발간, 배포 및 교육실시
- 해양수산부, 국립수산과학원, 지자체, 관련 연구기관 등에 70여부 배포
- 해양경찰청연구소, 부경대, 해양생태기술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시험방법 교육실시
- 해양환경공정시험법으로 6개 생태독성 시험법 사용 고시
- 해양수산부의 해양생물공정기준에 생태독성 시험법 최초 고시
- 생태독성 시험법을 활용한 정책지원 및 홍보
[10] 미얀마 내수면 수산양식산업 기반 조성(ODA 사업)
- 미얀마 최초의 내수면 수산양식산업 발전 방안 수립 및 전달
- 수산 정책 및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한 관리·실무급 초청 및 현지연수(총 46명)
- 미얀마 내수면양식연구 센터운영 지원 및 기술교육
- 어미관리, 종자생산, 양성, 질병, 수질관리 등 양식기술 교육
- 한-미얀마 공동 생산 어류종자 방류(로후 등 3종, 20만 마리)
- 미얀마 내수면센터 성공운영 및 대량방류, 국영TV 등 10여개 언론사 보도
- 미얀마 내수면양식센터 성공사례로 동남아시아 주변국 관심고조(태국 등)
- 2018년 연합뉴스 외 다수 언론보도(한국 선진 수산양식기술로 수산한류 시동)